Seminar on ESS Centralized Contract Market Bidding and Grid Stabilization Strategies
ESS 중앙계약시장 경쟁 입찰과 전력망 안정화 대응 기술 세미나
2025.10.16 - 2025.10.16
관람 시간
- 10/16(목)
-
10:00 ~ 17:00
관람 장소
새 정부 출범 이후 에너지 전환 정책의 강화와 맞물려 전력산업이 재생에너지 확대와 탄소중립 정책 추진이라는 거대한 전환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ESS 중앙계약시장은 정책적 수요공고를 통한 투자 유인과 장기계약 기반의 안정적 수익모델을 제공하여 전력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다. 본 세미나는 최근 ESS 분야는 화재 안전성 확보, 성능 인증, 효율적 운영 전략 등 복합적인 과제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는 시점에서, 업계와 학계, 연구계가 한자리에 모여 대응 전략과 해법을 공유하고 미래 전력시장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이다.
1. 전력망 안정화를 위한 ESS 정책 지원과 중앙계약시장 구축 방안
- 입찰참가 등록 및 자격
- 입찰 제안서 평가
- 계약 주요 사항
- 입찰대상 발전설비 요건
2.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전략과 전력거래소 '제주 장주기 BESS 구축사업' 참여사례
- ESS 설계·조달·시공(EPC) 및 운영방안
- 제주지역 장주기 ESS 구축 사업 실시
3. '2025 1차 ESS 중앙계약시장 경쟁 입찰' 주요 내용 및 분석과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에 따른 ESS 사업 추진 방안
- 계통연계형 BESS 착공 및 상업 운전 방안
4. 지능형 배터리 열화관리 시스템(BiMS) 실증 적용 및 ESS 안전관리 기술
- ESS 시설 안전·운영 기술
- BiMS 기반 실증 사례
5. 계통 안정화를 위한 ESS PCS 성능 평가 및 시험 인증 방안
- ESS PCS 성능 요구사항 및 시험절차
- 인버터 및 접속함, PCS 안전성 평가, 시험 인증
6. ESS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가스센서 선정 기준 및 관련 시스템 기술 동향
- 화재 예방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센서 선정 기준
- 최신 기술 규격 개정 동향 (NFPA 855, FM Date Sheet 5-33 등)
- 실증 사례 및 최신 시스템 기술
7. ESS 효율적 운영/제어를 위한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도입과 구축 전략
- ESS 연동 최적 제어를 위한 AI/클라우드.엣지 적용 기술
- EMS 도입 및 구축을 위한 기업의 전략
363,000원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KECFT)
박원경 (Park Wonkyoung)
Email: kecft@kecft.or.kr
Tel: 02-545-4019
Fax: 02-6008-9134